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안내/아동

양육수당 또는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받으세요~

by 깨닫는 순간 2022. 11. 14.
반응형

  우리나라는 아이가 태어나면 일정나이에 한해서 지원금을 주고 있습니다. 양육수당 또는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그리고 아동수당 모두 보편적복지로 모든 아동 대상들이 지원이 됩니다. 이전에는 아동수당에 대해 포스팅 하였으니 오늘은 양육수당 또는 어린이집 보육류에 관하여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양육수당과 어린이집에게 지원되는 보육료 지원은 한세트일거 같으면서도 그렇지 않은데요, 왜냐하면 양자택일을 해야하거든요. 집에서 아이를 키울 경우에는 양육수당을 받는 것이고 어린이집을 보낼 경우에는 양육수당을 받지 않고 어린이집 보육료를 지원 받기 때문입니다.(양육수당은 현금으로 직접 받고, 보육료 지원은 어린이집으로 지원 됩니다)

출처 : Westfale_Pixabay

< 지원 대상 >

 - 대한민국 국적 및 유효한 주민번호를 보유한 만0~5세 아동

 

< 신청 시기 >

 - 상시 신청 가능

 

< 신청 방법 >

 -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 2가지 방법중 1개 선택

 ㆍ아동의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방문

 ㆍ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http://www.bokjiro.go.kr)

 

< 신청 문의 >

 - 다산콜센터(국번없이129, 서울의 경우 120), 주민등록된 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자치구 보육업무 담당과

 

< 신청 서류 >

 - 사회보장급여 신청(변경)서, 출산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양육수당의 경우)

 - 사회보장급여(사회서비스 이용권) 신청(변경)서(보육료)

 - 국민행복카드발급 신청 및 개인신용정보 조회제공이용 동의서(카드신청시)

 - 연장보육 신청 사유서(0~2세반 연장보육 신청 시)

 

 

1. 어린이집 이용시

 - 만 0~5세 자녀를 둔 부모님들이 자녀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보내는 경우 소득계층과 상관없이 누구든지 보육료를 지원 받습니다. 

 ㆍ만 0세~2세의 경우 소득무관 전 계층이 지원받습니다. 

 ㆍ누리과정 대상인 만 3세~5세의 경우 월 28만원 지원받습니다. (만 3~5세 누리장애아보육료 : 월 53만 2천원)

 

  ※ 연령별 출생연도 및 지원금액

구 분 0세반 1세반 2세반 3~5세반 장애아
합계 1,069,000 749,000 574,000 280,000 1,154,000
부모보육료 499,000 439,000 364,000 280,000 532,000
기관보육료 570,000 310,000 210,000   622,000

2. 가정 양육시

 - 어린이집, 유치원에 보내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하시는 경우에도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분들이 가정양육수당과 영아수당을 지원 받으실 수 있습니다.

 ㆍ만 0세 (2022.1.1 이후 출생자)는 월 30만원을 지원 받습니다.

 ㆍ 12개월 미만(2022.1.1 이전 출생자)은 월 20만원, 12개월~24개월 미만은 월 15만원, 24개월 이상부터 86개월(취학년도 2월)미만까지는 월 10만원을 지원 받습니다.

 ㆍ장애아동(2022.1.1. 이전 출생자)은 36개월 미만은 월 20만원, 36개월 이상 86개월 미만은 10만원 지원받습니다. 

출처 : Peggy und Marco Lachmann-Anke_Pixabay

< 지원 방법 >

 - 보육료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보육료 지원 신청 후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ㆍ카드 발급 금융기관 : KB, 우리, 하나, 신한, NH농협, 롯데, BC 카드 등

 - 신청ㆍ발급시 수수료는 없으며, 소득ㆍ재산 조사는 하지 않습니다.

 - 기존에 보육료 지원 신청을 하고 국민행복카드를 발급 받으신 부모님들은 새로 발급받지 않고, 계속 사용하실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준비하실건 없습니다.

 ㆍ아이행복카드는 발급 받았으나 보육료 지원 신청을 하지 않으신 경우에는 보육료 지원 신청을 꼭 하셔야 합니다.

   ※ 보육료 지원은 신청일을 기준으로 지원하며 단, 신청일보다 입소일이 늦은 경우 입소일부터 지원합니다.

 

 지금까지 가정양육수당 및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에 관하여 정리해 보았는데요, 이러한 제도를 몰라서 혜택을 못받는 경우가 없기를 바랄게요!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http://www.bokjiro.go.kr)에서 지원 신청을 하셔야 하며, 신청 후 14일 이내(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16일 이내 연장 가능) 처리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